고혈압의 원인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

고혈압은 증상이 없고 불편함이 없는 질환으로 지금은 당장 아프거나 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질환입니다 고혈압은 뇌졸중의 중요한 원인으로 가장 위험한 위험인자이며 오랜시간 고혈압이 지속되면 혈관 내벽에 상처가 나며 쉽게 손상되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됩니다

오늘은 고혈압의 원인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에 대하여 포스팅 할까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

혈압이 상승하는 가장 큰 이유는 뇌와 말초에 있는 미세혈관까지 혈액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몸의 구서구석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 수 있습니다

즉 뇌와 말초까지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우리 인체는 혈압을 높여서라도 혈액을 보내기 위한 하나의 생존행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혈압이 높아지는 근본적인 원인은 해결하지 않은체 혈압약을 통하여 억지로 혈압을 낮추려고 하는것이 더 큰 문제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듯 합니다

고혈압이 생기는 이유

딱딱한 혈관과 진득한 혈액의 상호작용

img 1981

혈압이 높은 원인

첫번째는 혈관의 문제

노화가 진행되어 짐에 따라 혈관벽의 탄력과 탄성이 감소하면서 콜라겐이 부족하여 혈관내피세포가 손상되기 쉬워지는 구조가 됩니다 손상된 혈관에 당독소나 산화된 콜레스테롤이 달라 붙어 혈관경화와 죽상동맥경화가 빠르게 진행되게 됩니다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

다시 이야기 하면 노화 콜라겐의 부족 칼슘이 침착 당독소 그리고 콜레스테롤등이 혈관에 영향을 주어 혈관벽의 탄성과 탄력이 감소하여 딱딱해지거나 죽상동맥경화가 발생하게 되면 혈관의 벽이 좁아지거나 막히며 이로 인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혈액의 흐름이 좋지 못하다는 말이 됩니다

두번째 혈허가 있는 경우

헐허가 발생하게 되면 혈액이 끈적끈적해지고 탁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헐허가 발생하게 되면 혈관이 상처를 입거나 때가 끼게 되어 혈관이 빠르게 망가지게 됩니다

끈적해진 혈액을 말초신경까지 보내기 위해서는 심장도 더 힘차세 세게 펌핑을 해야 되고 그러므로 해서 심장에도 무리가 가게 됩니다 이렇게 고혈압을 형성하게 되면 심장은 빈맥 부정맥 협심증 같은 병이 생기기도 합니다

심장이 빠르게 뛰는 분

불규칙하게 뛰는 분

숨쉬기 힘든 분

심장에 통증이 있는분

모두 혈허로 인하여 심장이 지치고 열을 받아 생기는 증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mg 1572

세번째 교감신경 항진

교감신경이 항진되게 되면 심장의 박동수가 증가하고 혈관은 수축하게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교감신경이 항진되는 경우는 보통의 경우는 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것과 심장에 열이 많아 발생하는 심열의 두가지 경우로 볼수 있습니다

즉 이것을 현대적으로 풀이하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들에 해당된다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네번재 비만 입니다

어딜가나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비만입니다 비만은 혈관을 망치고 심장에 무리를 주며 관절등과 같은 부위에도 악영향을 주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이런 비만은 사람의 혈관을 망가져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고 혈관이 깨끗한 분들이 많이 없습니다

즉 비만은 혈액을 탁하게 하고 혈관이 쫍아지고 혈액도 끈적끈적한 고지혈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비만은 심장에도 부담을 주며

혈액을 더 멀리 보내기 위해 혈압상승과 심장 과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img 1982

고혈압약의 문제점

고혈압약은 심장의 힘을 빼서 혈압을 낮추거나 신장에 작용하여 혈액량을 줄이고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는 기전이 됩니다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여러 원인으로 조직 곳곳에 충분한 산소와 혈액이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심장의 수축력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게 되면 뇌나 말초신경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미세혈관에는 혈액이 도달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가야할 곳에 혈액이 도달하지 않으면 조직세포와 신경세포에 문제가 생기고 시리거나하는 수족냉증의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장에 작용해 혈액량을 감소시키게 되면 대사과정에서 우리가 배출하는 독소들은 줄어 들지 않고 혈액은 탁해지고 끈적해지는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당장은 혈압이 떨어질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혈관이 점점 망가짐으로써 혈압약의 용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항혈전제의 경우 혈전을 녹일수는 있지만 혈관벽도 약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항혈전제는 예방을 위해 복용해서는 안되며 혈관을 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뇌출혈 위장출혈등 문제를 유발할 개연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img 1983

뇌졸중을 일으키는 위험요소

첫번째 고혈압

두번째 운동부족

세번째 혈중지방

네번째 나쁜 식습관

다섯번째 스트레스

여섯번째 흡연

이렇듯 고혈압은 뇌졸중의 중요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지금은 증상이 없고 불편감도 없지만 종국적으로는 아주 큰 문제를 야기시킬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고혈압의 발생원인에 대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기원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고혈압의 원인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