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재무제표 보는 법을 알고 계신가요?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형자산 투자를 해야 합니다.장기간 투자를 안 할 경우 자연스레 경쟁력을 잃고 도태되기 십상이죠. 만약 유형자산을 매출액 대비 80% 이상 보유하고 있다면 이것은 과잉설비투자로 의심해 볼 만합니다.
왜냐하면 설비 투자한 만큼 매출이 증가하지 못할 경우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만 늘어나 실적에 악영향만 끼칠 뿐이기 때문이죠. 오늘은 재무제표 보는 법 중에 유형자산 투자 규모를 파악하는 법 공유해 볼게요.
이 재무제표는 대상 2022년 실적 사업보고서 (2023.03.16)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작년보다 708억 원 증가했다고, 단순하게’708억 원 증가했구나’라고 생각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자산항목에 기재된 수치 = 감가상각비를 공제한 금액.
실질적인 유형자산 취득 금액은 현금흐름표에 나와 있는 1,744억 원입니다.
참고로 정확한 수치는 재무제표 주석의 ‘유형자산 변동내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왜 재무상태표에서 유형자산 규모가 708억 원만 증가하였을까요?
정답은 취득금액은 1,849억 원이지만 감가상각비로 비용 처리한 금액이 1,003억 원이라서 그렇습니다.
2023.02.01 – [경제상식/주식] – ‘재무제표’ 간단히 알아보기
‘재무제표’ 간단히 알아보기
주식을 하다보면 주변에서 “그 회사 재무제표는 어때?” 라고 물어보죠. 재무제표가 대충 회사의 재무 상세 내역이라고 알고 있지 크게 중요하게 생각 안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오
aboda.kr
11년간 키운 딸이 친딸이 아니었다는 충격적인 진실 혼전임신으로 시작된 결혼, 11년간의 헌신, 그리고 밝혀진 배신.…
AI 배우, 할리우드의 충격과 분노 네덜란드 제작사가 선보인 AI 배우 틸리 노우드의 등장에 할리우드가 강력…
군 지휘관 징계 논란과 군인복무기본법 16조 개정 논의 국방부의 징계 절차와 '입틀막법' 논란 속에서 군인의…
삼성과 SK, OpenAI와 손잡고 700조 AI 프로젝트에 뛰어들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